new

해양 레저관광개발 – 전라남도 도서∙연안 관광편

2010-10-04
new
RHTL본부 상무보 최승용 (02-316-6668)

해양 레저관광개발

글로벌 관광산업에 대한 전망은 Asia Pacific, 중동,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관광시장의 패턴 또한 환경친화, 모험, 엔터테인먼트, 의료, 문화 등의 다양한 관광상품과 접목하며 새로운 유형의 관광상품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임.
국내 관광산업에서는 내륙관광에서 해양관광으로의 관광패턴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며, 해안을 접하고 있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해양관광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특히, 전라남도의 경우 다양한 관광자원과 청정해역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 및 일본 관광객 등 동북아의 중심경제∙관광지로서의 잠재성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해양관광개발의 중심지역으로 그 잠재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음.


해양 및 도서관광 환경분석

▪ 세계 해양관광 환경
미래 관광활동의 중심 장소는 과거 내륙관광에서 해양관광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의 해양관광지는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해양 관광단지의 개발을 통해 동북아 해양 관광시장의 선점의 필요성이 있음.
  - 유럽과 미국의 경우, 해양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관광의 약 50%
  - 미국의 경우, 관광관련 수입의 85%가 해안지방에서 발생하고 있음

▪ 국내 해양관광 환경
우리나라 해양관광 참여인구는 여름철에 집중되는 극심한 계절성을 보이고 있으며(약 61%), 해양관광을 즐기는 레저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해양수산부, 해양관광 기반시설 조성 연구용역 中).
이에 따라, 해양 관광단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2008년 기준으로 관광진흥법에 의하여 지정된 해양중심의 관광단지는 중문, 해남화원, 화양지구 등을 포함한 7곳이 있음.

[표-1] 해양관광단지 지정 및 개발현황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2008), 국가기록원, 경북관광개발공사)


전라남도 입지현황 분석

▪ 광역적 입지현황 : 동북아 권역상의 입지현황
전라남도는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의 서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향후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 범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될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지역임. 중국의 황해연안 지역인 상해, 대련, 청도 등 주요도시와 400해리 정도에 입지하고 있으며, 한반도 화물흐름의 X자형 축(목포, 광양-서울-원산-청진축과 부산-서울-신의주축)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음. 특히, 목포항은 중국이 한국 교역의 거점으로 계획하고 있는 상해지역과 인접하여 교역의 중심 항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임.



전라남도 관광현황과 문제점 분석

전라남도는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로서 남해안의 수려한 자연자원과 다양한 문화유적자원을 관광자원으로 연계 개발하고, 국제적 수준의 관광거점지역으로 육성하며, 새로운 해양지향적 국토개발축을 형성할 계획에 있음.

[표-2] 전라남도 관광지 현황

                                  (출처: 관광지식 정보시스템)

그러나, 전라남도의 관광현황은 국내의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수요, 안정성, 효율성, 인프라 4가지 측면에서 세계 대표적인 해양레저관광도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표면적으로는 전통적인 관광개발의 제약요인, 도입시설 중복 및 차별화 미비, 투자유치 매력 저하, 전략적 투자자 부재 등의 과도기적 위험을 안고 있는 상황임.

[표-3] 전라남도 현황 및 문제점 종합


                      (출처: Horwath Choongjung Analysis)


관광개발을 위한 투자유치환경분석

▪ 투자여건분석
국내 관광개발 측면에서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장려하고 있으나, 그 실효성은 현실적으로 제한적이며, 그 실적이 미비함. 세계 외국인 투자 유입규모 중에서 한국의 점유비중은 2004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타 경쟁국에 비해 한국의 외국인 투자유치 경쟁력은 저하되고 있는 상황임(2004년 1.25% ⇒ 2007년 0.14%)
2009년 정부는 녹생성장 등 세계산업패러다임의 전환과 글로벌 경기 회복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였음.
  - 투자관심대상 지속발굴, 수요자 중심의 입지∙인센티브 제공, 지역 개발과 외국인 투자연계, 기업관련 제도의 글로벌 스탠다드화, 전략적 투자유치 활동 전개, 노사관계 지원 및 반외자 정서극복, 현장 밀착형 투자지원시스템 강화, 글로벌시티로의 생활환경 구축 등

▪ 주요잠재투자자 성향분석
관광개발 및 투자활성화를 위한 투자유치활동시 고려해야할 투자자 그룹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표-4] 투자자 유형별 특성

                      (출처: Horwath Choongjung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