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Crowe Global – ESG Articles
번역 및 편집 : 오지형 한울회계법인 ESG 센터장
(이하는 Crowe US에서 공개한 Article을 원문으로 하였으며, 원문의 의미를 변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발췌 및 수정하였습니다.)
ESG는 지속가능성과 투명성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 경영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ESG 기준과 규제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를 반영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ESG 관련 주요 변화와 사례를 통해 기업들이 이러한 변화 속에서 어떤 기회를 모색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EU의 Omnibus 제안 : 규제 변화와 비상대응 전략
EU에서 ESG 보고 및 실사에 대한 규제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Omnibus 제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제안은 CSRD(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와 CSDDD(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에 핵심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구체적으로, CSDDD의 준수 기한이 기존 2027년에서 2028년 7월로 연기되었으며, 인권 및 환경 성과 평가 주기도 기존 연 1회에서 5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미준수 시 부과되는 재정적 벌금이 완화되는 등 기업들에게 규제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EU에서 기업들이 새롭게 변화한 규제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도록 비상대응 계획 문서를 마련했습니다. 이 문서를 통해 ESG 공시 절차를 간소화하고, 기업들이 효율적이고 일관되게 글로벌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지원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기업들이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규제 준수와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IFRS S1 및 S2 : 글로벌 적용 사례와 전환 계획 공시
IFRS의 S1 및 S2는 ESG 공시와 기후 관련 위험 관리를 위한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타리카의 주요 수력발전 기업인 Conelectricas와의 협업은 이러한 기준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Crowe 아르헨티나와 Crowe 코스타리카의 협력을 통해 Conelectricas는 재무보고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기후 관련 위험과 환경 영향을 체계적으로 공시하며, 글로벌 지속가능성 표준을 충족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전략이 확산되고 있는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아울러, IFRS 재단은 기업들이 전환 계획 공시 요건을 더욱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침 문서를 개발 중입니다. 이 문서는 TPT(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들이 공시 복잡성과 비용 부담을 줄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ESG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SASB 기준의 접근성 개선
ESG 공시와 관련하여 또 다른 중요한 진전은 SASB(지속가능성 회계 기준 위원회) 기준의 접근성 개선입니다. 이제 기업들은 IFRS 계정을 통해 SASB 기준에 PDF 및 HTML 형식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ESG 공시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줄이고, 산업별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과적으로 기업들은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ESG 데이터를 관리하고 보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일본 지속가능성 기준 위원회(SSBJ)는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에서 개발한 기준을 기반으로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이 기준은 일본 상장 기업들이 지속가능성과 기후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의무화하며, 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ESG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일본의 이러한 변화는 국제 ESG 기준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중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럽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M&A 증가
유럽에서는 ESG와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 인수합병(M&A)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가능성이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기업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러한 활동은 ESG를 중심으로 시장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는 데 중요한 촉매제가 되고 있습니다. ESG와 관련한 글로벌 변화는 지속가능성과 투명성을 중심으로 기업 경영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업들은 단순히 규제를 준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략적 기회로 삼아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 그리고 전문 컨설팅 기관들이 주도하는 이와 같은 변화는 지속가능한 경영 환경 조성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을 동시에 이끌어가는 동력이 될 것입니다. 기업들은 이를 선제적으로 수용하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통해 미래의 지속 가능성을 구축해 나가야 합니다. 이처럼 ESG 관련 규제와 기준의 변화는 단순히 보고 절차의 개선을 넘어서,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그리고 전문 컨설팅 기관들이 주도하는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하고 투명한 경영을 위한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며, 기업들은 이를 선제적으로 수용하고 대응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Crowe Global References
Omnibus Proposals Response
IFRS S1 & S2 in Costa Rica’s Hydropower Sector
EU Omnibus Proposal's Changes to CSRD & CSDDD
Transition Plan Disclosures
Japan's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SASB Standards Navigator Available
Omnibus Explained: Key Changes to CSRD
European M&A Activity with Sustainability Focus